본문 바로가기

“공부는 끝났다”고 생각했던 순간, 다시 시작된 배움의 길.

봄이어멍 2025. 5. 13.

이제는 돈이 없어도, 시간이 부족해도 누구나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평생교육이용권’ 하나로 바뀌는 인생 2막, 지금 도전해보세요!

 

 

 

평생교육이용권이란?

‘평생교육이용권’은 경제적 이유로 배움의 기회를 갖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바우처 제도입니다. 1인당 최대 70만원까지 지원받아 어학, 자격증, 디지털 교육 등 원하는 교육을 들을 수 있습니다.

2025년 새롭게 개편된 지원방식

기존 중앙정부 중심 운영에서 벗어나, 2025년부터는 '국가-지자체 평생교육이용권'으로 확대 개편되었습니다. 각 지역별 자율성과 수요를 반영하여 더 많은 사람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지원 유형과 자격 조건

총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각기 다른 대상에게 맞춤형으로 제공됩니다.

 

유형 지원 대상 선발 인원 특이사항
일반(지역특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85,000명 가장 많은 인원 선발
노인형 65세 이상 성인 8,000명 주민등록 등본 주소지 기준
디지털형 30세 이상 성인 10,000명 디지털 교육기관 강좌만 이용 가능



지원 금액 및 혜택

1인당 기본 지원금은 35만 원이며, 상반기 우수 학습자에게는 추가로 35만 원을 지급합니다. 따라서 최대 70만 원까지 이용이 가능합니다. 교육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가능하며, 자격증, 외국어, 직무 능력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 수혜자 인터뷰: "이용권 덕분에 취업했어요"

한 수혜자는 2023년에 평생교육이용권으로 어학과 자격증을 취득하고, 하반기에는 전산자격증까지 취득했습니다. 결국 해당 자격증을 기반으로 직장에 취업해 꾸준히 근무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국가가 내 미래를 후원해주는 느낌이 들었다”고 말하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습니다.

지자체별 신청 방법

기존과 달리, 신청은 중앙 포털이 아닌 지자체별 누리집을 통해 이뤄집니다. 해당 주소지에 따라 공고 내용이 다르므로, 각 지자체 공식 홈페이지나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을 통해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신청 기한과 유의사항

2025년 5월 14일까지 신청 가능하며, 서류 미비나 자격 미충족으로 인해 탈락하는 경우가 많으니 꼼꼼한 확인이 필수입니다. 특히 디지털형은 특정 강의기관만 이용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Q&A

Q1. 누구나 신청할 수 있나요?

A. 모든 국민이 신청 가능하나, 유형별로 자격 요건이 다릅니다. 저소득층, 고령자, 디지털 취약계층이 주요 대상입니다.

Q2. 어떤 교육을 들을 수 있나요?

A. 어학, 자격증, 직무 교육 등 평생교육기관의 강좌 대부분이 가능합니다. 디지털형은 지정 교육기관 강좌만 해당됩니다.

Q3. 온라인 강의도 가능한가요?

A. 네. 온라인, 오프라인 모두 가능합니다. 특히 온라인 강좌는 직장인에게 인기입니다.

Q4. 신청 후 언제 결과를 알 수 있나요?

A. 지자체별로 상이하나, 보통 마감 후 2~4주 내에 개별 안내됩니다.

Q5. 이미 다른 정부 바우처를 받고 있는데 신청 가능한가요?

A. 일부 중복 수혜는 제한될 수 있으므로, 신청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더 많은 이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사람에 대한 투자는 국가의 미래에 대한 투자’라는 말처럼, 평생교육이용권은 단순한 학습 지원을 넘어 삶을 바꾸는 도구가 됩니다. 더 많은 국민이 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확대가 필요합니다. 지금, 당신의 배움도 시작해보세요.

 

댓글